적조 발생 때는?

  • 선박을 활용하여 양식장주변 적조생물을 분산시키고 산소를 주입합시다.
  • 유해성 적조가 양식어장 주변해역에 발생했을 때에는 먹이공급을 중단합시다.
  • 인근해역에 적조가 발생했을 때에는 적조생물 밀도에 따라 사료 공급량을 조절합시다.
  •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은 5m 이상으로 수심을 유지합시다.
  • 주간 적조생물 부상시간에 황토를 살포합시다.
  • 소규모 적조 시에는 어장유입 전에 황토를 살포합시다.

육상양식장 적조피해방지요령

적조 피해예방 기기 장비 준비

  • 액화산소, 공기 공급 장치 등
  • 여과시설, 적조경보기, 분말 황토 등

적조밀도 수시 점검

  • 적조주의보 발령 시부터 인입수의 적조밀도를 24시간 점검
  • 특히 야간에는 저층의 고밀도 적조가 인입수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음

급이 중지

  • 적조주의보 시부터는 가급적 절식
  • 적조경보에는 먹이공급 완전 중단

적조제거

  • 고압여과기, 지하해수, 순환여과시스템, 분말황토 등을 활용한 적조생물 제거

액화산소공급

  • 적조주의보 시부터 액화산소를 공급하고, 적조밀도 증가와 함께 공급량 확대
  • 주수관을 통한 액화산소의 혼합 공급

포기량 증가

  • 적조주의보 시부터 산소발생기 최대한 가동 및 에어스톤 증가

환수 조설

  • 1000개체/ml 이상의 고밀도 적조 유입 시부터 부분환수 실시
  • 고밀도 적조가 장시간 짖속시에는 해수공급과 단수를 반복

폐사체 신속 제거

  • 수조내 살아있는 양식생물의 연쇄적인 폐사 방지를 위해 폐사체를 신속히 제거

전복 틀별관리 방법

  • 적조발생 직전 사육수조 바닥의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
  • 사육조내 에어스톤 수 증설
  • 적조주의보 시부터 먹이공급 중지 및 액화산소 공급
  • 적조발생 시 용존산소는 새벽녘에 가장 낮음으로 야간의 용존산소 저하에 특히 주의 요망

양식생물에 대한 적조의 유해성

  • 활동성 어류 (방어, 돔)가 정착성 어류 (조피볼락, 넙치)보다 적조에 더 민감
  • 성어가 치어보다 적조에 더 민감
  • 집약적 양식의 전복은 고밀도 적조에서 용존산소 급감에 각별한 주의 요망